프리터족, 이웃 일본은 일찍이 경제적인 성장 이후 저속성장의 늪에 빠지고 국민 고령화라던지 초식남이라던지 많은 부분 우리나라보다 일찍 사회적인 문제를 겪었습니다. 프리터족 또한 일본에서 나타난 사회적 현상이었는데 우리나라도 프리터족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적 우려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프리터족은 무엇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고고~
이 글의 목차
- 프리터족이란 무엇인가요?
- 일본에서 시작된 프리터족, 그 유래와 배경
- 왜 프리터족이 늘어나고 있을까요?
- 프리터족의 대표적인 특징은?
- MZ세대부터 중장년층까지, 프리터족의 확산
- 프리터족으로 사는 삶은 정말 행복할까?
- 프리터족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미래
프리터족 뜻, 프리터족이란 무엇인가요?
‘프리터족’이라는 단어, 요즘 뉴스나 커뮤니티에서 자주 들리실 거예요. 프리터족은 정규직 취업 대신 아르바이트만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영어 ‘free(자유)’와 독일어 ‘Arbeiter(노동자)’를 합쳐 만들어진 말인데요, 말 그대로 자유롭게 일하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입니다.
과거에는 비정규직이나 취업 실패자의 대명사처럼 여겨졌지만, 요즘은 삶의 방식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도 있습니다. 특히 MZ세대나 퇴직 이후를 고민하는 중장년층 사이에서도 프리터족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일본에서 시작된 프리터족, 그 유래와 배경
프리터족의 시작은 1990년대 일본입니다. 그 당시 일본은 버블경제가 붕괴되고 장기 불황이 시작되면서, 취업난이 본격화되었어요. 정규직 자리는 줄고, 젊은이들은 어쩔 수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이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이 바로 프리터족의 시초였습니다. 처음에는 ‘잠시 취업을 준비하는 상태’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상태가 하나의 삶의 형태로 자리잡기 시작했고, 이제는 일본 사회의 고착화된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왜 프리터족이 늘어나고 있을까요?
그렇다면 왜 한국에서도 프리터족이 늘어나고 있을까요? 첫 번째 이유는 정규직과 아르바이트의 수입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최저시급은 9,860원인데요,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206만 원입니다. 반면 중소기업 20대 초임 평균이 220만 원 선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굳이 정규직으로 야근하며 일할 필요가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평생직장 개념의 붕괴입니다. 과거에는 한 번 회사에 입사하면 정년까지 일하는 것이 당연했지만, 이제는 이직과 퇴직, 다양한 커리어 전환이 일상이 되었죠. 마지막으로 일자리와 구직자의 수요 mismatch, 즉 일자리는 있어도 원하는 직종이 아닌 경우가 많다는 것도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난 정권의 임금 상승을 통한 경제 부흥 정책이 낳은 여러가지 문제가 많았지만 프리터족 양산 문제 또한 정책이 가져온 결과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해서 살 수 있으면 좋지 않냐라고 말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글세요 고도화된 기술 축적이 어려운 아르바이트가 정규직보다 많아지는 것, 소상공인이 아르바이트를 쉽게 쓸 수 없어 줄폐업의 길을 걷는 것 등 단 한가지로 현상을 판단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프리터족의 대표적인 특징은?
프리터족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규직보다 아르바이트를 선호합니다.
- 돈보다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중시합니다.
- 물질적 풍요보다는 소박한 삶을 지향합니다.
- 경제적 자유보다 시간의 자유를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또한, 프리터족은 특정 목표나 명예, 부에 대한 욕심이 비교적 적으며 최소한의 비용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삶을 추구합니다. 이런 삶을 지향하다 보니, 소비도 자연스럽게 줄고 ‘미니멀리스트’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발적으로 진행하지 않는 미니멀리즘은 참,,,씁쓸합니다
MZ세대부터 중장년층까지, 프리터족의 확산
프리터족 하면 흔히 20대, MZ세대를 떠올리지만 요즘은 40대, 50대 중장년층에서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육아나 퇴직, 정년 이후 새로운 일을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편의점, 배달, 창고 업무 같은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처럼 프리터족은 단순한 청년층의 문제를 넘어 전 세대를 아우르는 사회 현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프리터족으로 사는 삶은 정말 행복할까?
실제로 일본의 조사에 따르면, 프리터족의 약 60%가 현재의 삶에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스트레스 없는 자유로운 생활, 원하는 시간에 일하고 충분히 쉴 수 있는 삶. 직장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이들에게는 오히려 프리터족의 삶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물론, 경제적 불안정성과 사회적 시선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내가 진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솔직하게 답한 결과가 프리터족이라는 형태로 나타난 것일 수도 있습니다.
프리터족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미래
프리터족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도 많습니다. 사회적 생산성이 떨어지고, 세금 기여도가 낮고, 소비도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들은 사회가 요구하는 틀을 벗어나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설계하는 사람들입니다. 정규직 일자리 외에도 다양한 삶의 형태가 존중받는 사회, 누구나 자신의 기준으로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프리터족은 결코 실패한 인생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일 뿐입니다. 문제는 그들이 살아가는 이시대의 환경이 그들을 그쪽으로 몰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앞으로 한국 사회도 프리터족을 ‘이해’하려는 태도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존중’하는 시선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나아가 그들에게 더 나은 선택지를 제시할 수 있도록 경제 산업 분야의 성장이 절실합니다.
우울증테스트, 혹시 나도 우울증? 우울증 개념과 자가 테스트 항목
우울증테스트, 우리는 우울증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혹자는 시대가 그렇기 때문에, 혹은 생존이 어느정도 보장되는 시대에 사람들이 나약해졌기 때문이다 등등 말들이 많습니다. 아무튼 우
insight-up.tistory.com
지구 평평설, 그들의 (비)과학적 주장과 진짜 과학적 반박 정리해드림 - 매거진 낯선사고
지구 평평설, 그들의 (비)과학적 주장과 진짜 과학적 반박 정리해드림 - 매거진 낯선사고 ‘지구 평평설’은 지구가 구형이 아닌 평평하다는 주장을 말합니다. 고대에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think-trigger.com
'품위유지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홀 생기는 이유?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 (0) | 2025.04.10 |
---|---|
헌법재판관 연봉, 어느 정도길래? 억대 수당의 실체와 그 의미 (3) | 2025.04.03 |
NFT 뜻, 무엇에 쓰는 건데? NFT의 A to Z (2) | 2025.03.24 |
우산의 기원을 알아보자 (0) | 2025.02.19 |
주식투자를 시작할 때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것들 총 모음 (0) | 2025.02.18 |